발달장애인
당사자 및
시민옹호
지원
'포항 시민
발전소'
| 발달장애인10명, 시민옹호활동가10명
| 연중 | - 발달장애인 당사자 권익옹호교육
- 시민옹호활동가 양성 및 활동(교육, 간담회, 모니터링)
- 발달장애인 및 시민옹호활동가 1:1 매칭프로그램
- 사회참여 자조모임
| 김정기
|
장애인이동권 개선 및 편의증진 활동지원 '포항청년발전소' | 자원봉사자 10명 | 연중 | - 대학생 봉사자를 활용한 장애인들의 권익옹호활동 수행
- 휠체어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이동권 개선활동 수행
-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정보약자들의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편의증진활동 수행
- 대학생 자원봉사자 교육 및 간담회
| 김정기 |
이용자 자조모임 '심신회'
| 심신회 회원
| 연중
| - 자조모임활동을 통하여 장애인의 상호간정보교류 및 유대관계형성과 지역사회활동을 지원(월례회,자조모임나들이)
| 김정기
|
이용자 자조모임 '좋은모임회' |
좋은모임회 회원 |
연중 |
- 재활서비스 이용자 중심으로 구성된 모임회로 구성원의 사회성 강화와 유익한 정보교류, 집단 활동을 통한 정서적인 지원
|
박수영 |
이용자 자조모임 '여성사랑회' |
여성장애인 |
연중 |
- 자조모임활동을 통하여 장애인의 상호간정보교류 및 유대관계형성과 지역사회활동을 지원(월례회,자조모임나들이)
|
박수영 |
후원자 개발 및 연계
| 복지관 이용자, 지역주민
| 연중
| - 후원자 개발 및 관리를 통한 복지관의 안정적인 재원 확보 및 지역사회 나눔문화 확산
- 결연후원사업: 경제적 지원이 필요항 장애인 세대에 결연후원금 지원을 통해 경제적 자립의욕을 고취시킴
(사례회의를 통해 선정된 장애세대) - 위기가정지원사업: 갑작스러운 사고나 위급한 생계위험이 있는 대상자나 대상자의 가정에 긴급구호비를 지원
| 박수영 |
자원봉사자 개발 및 연계
| 복지관 이용자, 지역주민
| 연중
| - 자원봉사자 개발 및 관리를 통한 안정적인 운영체계 확립 및 프로그램 전문성 증진
| 김순자 |
지역사회연계활동 | 지역사회, 복지관 직원 | 연중
| - 지역사회기관(단체) 협약 관리
- 장애인단체, 복지기관 및 시설, 각종 단체와의 연계협력체계 구축
- 지역장애인의 주도적 권익이 보장되는 지역사회기관(단체) 협력활동
| 김순자
|
지역연계보건활동
| 복지관 이용자
| 연중
| - 보건관리실 운영: 개별건강관리 및 상담, 만성질환 관리, 응급처치, 투약, 교육, 의뢰 등
- 매주 월~금요일 9:00~18:00 - 재가대상자 방문간호
- 재활의학진료(포항성모병원 연계) - 월 1회(매월 3주차 목요일 13:00)
- 치과진료(포항시치과의사회 및 치과위생사회 연계)
- 구강검진,충치 및 치주염 치료, 발치, 신경치료, 치아홈메우기, 스켈링, 불소도포, 잇솔질 교육, 구강보건교육, 투약, 의뢰 등 - 치과진료: 매주 수요일 10:00~14:00(혹은 10:00~13:00) - 스켈링: 월 2회(화요일 10:00~12:00, 수요일 14:00~16:30) - 한방진료(대구한의대학교부속 포항한방병원 연계)
- 침술, 한방약제 제공, 건강상담 등 - 월 1회(매월 4주차 금요일 9:30~11:30(7월 제외)) - 무료건강검진(포항의료원 연계)
- 내외과 진료, 정밀검사, 투약 등
| 김순자
|
장애인식개선 | 지역사회 | 연중
| - 찾아가는 장애이해교실(5~10월)
- 장애인식개선교육
- 장애인식개선 캠페인
| 박수영 |
성인권교육 지원사업 | 발달장애인 부모 및 관련 종사자 | 6~11월 | - 발달장애인 부모 및 당사자, 발달장애인 관련 시설 및 단체 종사자 대상성인권 교육 진행
- 상담형, 강의형 및 토론형 교육 진행 : 아동기 성적 발달단계에 따른 지도법, 성폭력 예방 및 대처방법 등
| 김순자 |
마을만들기 '행복마을 차차차' | 대각리 마을주민, 복지관 이용장애인 | 1월~12월 | - 찾아가는 이동복지관: 찾아가는 이동복지 서비스를 통한 농촌지역 주민의 복지욕구 충족
- 보건의료서비스, 교육문화서비스 - 어울림 한마당: 장애, 비장애 주민이 함께하는 활동을 통한 공동체의식 함양
- 원예활동, 공예활동, 어버이날 행사, 마을세미콘서트, 행복한 밥상 나누기 - 행복마을 차차차: 마을가꾸기를 통한 마을 환경 개선 및 장애 친화마을 조성
- 마을가꾸기 활동, 편의시설 설치, 마을 무인 찻집 운영, 마을 텃밭 가꾸기, 협약 및 간담회
| 김순자 박수영 김정기 |